본문 바로가기
More Effective C++ 장점: 고급자로 발돋움하려는 그대를 위해 추천 단점: 속도 시대에 능률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일단 딴 얘기. 쉬운 스크립트 언어를 찾다가 파이썬을 만나게 되었다. 그 사이트 게시판에서 어떤 글을 보았다. "C++은 일부러 어렵게 보이려는 언어 같아요." 정말 아닌게 아니라 그런 거 같다. 예전 마소 잡지에서 본 기사가 생각이 난다. C 프로그램 어렵게 찾기 대회였나? C코드를 난독조차 할 수 없도록 마구 뒤엉켜놓은 코드였다. 특별히 1등 코드가 소개되어 있었는데, #define이 다단계로 되어 있고 main함수 조차 define으로 선언해놓아 발견할 수 조차 없는 그야말로 괴상망칙한 코드였다. 어쨌든 버그는 없었다 ^^; 왜 이런 생각이 들었을까. 이 책은 확실히 공부하는데 좋은 교재다. 그러나 밑.. 2003. 12. 10.
비주얼 베이직 6 비주얼 베이직을 만만히 보는 분들이 있을 것이다. 머, 나도 그랬다 ^^; 그러나 최근의 프로그래밍 흐름은 조금씩이나마 변하고 있다. 이제 효율성보다 생산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향상되고 컴파일러 성능도 이에 걸맞게 발달되어, 코드 수준의 최적화는 솔직히 예전만큼 큰 의미를 갖지 않게 되었다. 이런 시대 환경을 맞이하여 비주얼베이직은 윈도우 플랫폼 에서의 산출물을 제작하는데 최고의 도구이다. 배우기 쉽고, 응용하기도 더할나위 없이 좋다. 그 세계로 입문하게 도와주는 좋은 책이 여기에 있다. 본인은 책 내용도 중요히 여기지만, 편집을 한층 더 중요히 생각한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라는 속담 때문일까. 컴퓨터 책은 집중을 요하고 보통 책보다 읽어야하는 내용이 많다. 편집이 .. 2003. 12. 10.
컴퓨터 무작정 따라하기 사실 내가 이 책을 볼 이유는 전혀 없었다. ^^; 그러나, 아버님이 오랜 직장 생활을 관두고 회사에서 쉬고 계신 지금, 그 이유가 생겨났다, 신문에서 지겹게 떠들어대는 정보화시대에 뒤쳐졌음을 느끼신 아버님의 요구가 초보(?)용 쉬운 책을 알아보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게다가 불호령이 두려웠기 때문에, 아버님이 좌절하지 않을 만한 쉬운 책을 찾기 위해 열심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쉬운 책 찾기가 이리 어려울 줄이야! 처음이 쉬우면 나중에 이상하고, 책은 쉬운 것 같은데 편집이 문제이고... 맘에 딱 맞는 책을 찾으려고 보낸 수시간! 결국 못 찾고 표지가 예쁜 책을 골라버리고 말았다... ^^; 아버님에게 정성껏 골랐음을 강조하며 책을 드렸다. 그리고, 변변이 가르쳐드리지도 못하고 출퇴근을 .. 2003. 12. 10.
초보자를 위한 윈도우즈 게임 프로그래밍 주의! 이 책을 사기 전에 단 하나 주의할 점이 있다. 제목에 당당히 써있는 '초보자를 위한...'이란 말이 새빨간 거짓말이란 사실이다. 하긴 어떤 경우에는 사실이다. C/C++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고 윈도우 프로그래밍도 조금 알고 있는, 프로그래머 초보자에 해당될 경우에. 프로그래밍의 '프'자도 모른다? 그런 경우 이 책을 구입하는 건 그야말로 돈 낭비다. 이 책의 장점? 바로 핵심을 요약한 것에 있다. 거의 모든 컴퓨터 책이 천 페이지가 넘는 두께에 두손으로 들기에도 힘겹다.(하긴 2천 페이지가 넘는 책도 있지만) 하지만 이 책은 공부하기에 딱 알맞다. 먹기 좋다! 쉽고 양이 적당하여 초보 프로그래머를 질리게 하지 않기에 진짜 딱 좋다. 그러고보니 저자가 쓴 비슷한 책이 하나 있다. "Tri.. 2003. 12. 10.
해킹, 속임수의 예술 고등학교때인가?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케빈 미트닉과 그를 체포한 사람의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뭐, 그 때는 어린지라 정말 흉악한 범죄자로 보였다. 제 집처럼 드나들면서 정보를 맘대로 조작하고 훔쳐내고... 반면에 그를 잡는데 공헌한 사람은 실력은 부족하지만(?) 인내심의 극한을 발휘한 끝에 성공했다는 이야기였다. 컴퓨터에 관심을 갖기 전이어서 그런지 그 사람의 기술은 더 놀랍게 보이기만 했다. 이제 나 이가 들고, 컴퓨터도 조금은 아는 지금 이 사람이 교도소에 갔다가 석방되었다는 소식도 들었고 한 권의 책을 냈다는 소식도 들었다. 제목 한번 끝내준다. 사기술? 이 사람의 책에서는 실제(?) 해킹 기법이 소개된다. 그러나 엄청난 기술을 생각했던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너무나 어이없을 것이다. 정말 사기술 맞.. 2003. 12. 10.
Essential(에센셜) C++ 출근 전, 자기 전, 화장실 등에서 틈나는대로 가볍게 읽는 중인데, 어느덧 반을 넘게 읽었다. 이유인즉 이 책의 분량은 비교적 작기 때문이기도 하다. 일단 평가자의 상태를 적어보자. C언어는 비교적 자신있게 알고 있고 하드웨어도 다뤄봤다. 그러나 제대 후 지금까지 공부에 소홀한 탓에(대신 게임에...) C++의 현대적 테크닉에 대해서는 무지몽매한 상태. 여러 권의 C++ 책을 갖고 있고 봤으나, 여는 순간부터 분위기가 남달랐다. 알고만 있었으나, 뇌 속에 사문화되어 사용처를 몰랐던 여러 예약어를 예제를 통해 보여준다. 헉... 이건 이럴 때 쓰는 거구나. 감탄을 한 것이 몇 번인지 모르겠다. 이렇게 번역이나 편집 상태나 간접적으로 언급되었다. 구어체로 서술된 탓인지 참 읽기 쉽다는 느낌이 든다. 중간중간.. 2003. 12. 10.
C++ Standard Library: 튜토리얼·레퍼런스 먼저 언급해둘 사항이 두 가지 있다. 리뷰어의 상태이다. 첫째, 나는 STL을 안 지 일주일도 되지 않았다. 헉... 그런 만큼 나의 리뷰는 나처럼 어디서 STL을 귀동냥으로 얻어들은(^^;) 사람에게는 참고가 될 만할 듯 싶다. 둘째, 이 책을 본 지는 24시간도 되지 않았다. 헉... 그것도 내 책도 아니다. ^^;;; 황당한 상황이다... 이렇게 고해성사를 했으니, 시원한 마음으로 글을 써보겠다. STL 쌩초보자인 내가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회사의 한 프로그래머와 대화를 했는데, 자신도 프로젝트 끝나고 STL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진작에 이걸 알았다면 프로젝트를 5개월은 빨리 끝냈을 거라고 했다. 평소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관심이 많은 나는 당연하게도 STL에 관심을 갖.. 2003. 12. 10.
CODE COMPLETE: 프로그래밍 완전정복 내가 이 책을 산 것은 좀 오래되었다. 97? 아니면 98년도. 그 당시에도 책값이 이 정도였는데... 그때 엄청 무리를 해서 샀다. 왜??? 나름대로 완벽한 코딩이란 불가능에 열정을 갖고 있었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랄까. 그때도 아마 와우북에서 샀다 ^^; 머 그건 그렇고... 이 책을 받아본 순간 엄청난 실망을 했다. 코딩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기보다는 너무나 개념적인 내용으로 가득했다. 게다가 소스 코드 또한... 그저 텍스트를 도와주는 그림 역일 뿐 거의 의미가 없었다. 이 책의 미덕이라면 아마 프로그래머가 가져야할 자세, 즉 버그 없는 프로그래밍을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 설명해주는 정도일 것이다. 그런데.. 그런 내용을 설명하기에는 책이 너무 두껍다! 이 책을 요약하면 300페이지 안팎으로도 충.. 2003. 12. 10.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유감스럽게도 국가 기술 자격 시험이 본인의 실력을 판단하기 보다는 단순 암기력 테스트에 지나지 않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덕분에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의 가치가 많이 감소했지만... 어쨌든 본인은 성취의 한 목적으로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했고, 그 달성을 위해 적당한 참고서가 필요했다. 일전에 기사2급(지금은 산업기사라 불리지만)을 땄을 때에는 두꺼운 책으로 공부했을 때가 생각났다. 부피가 크고 몇 권으로 분권되어 무척 체계적인 것 같았지만, 실제로 해설 부분이 별 기여도가 없었다는 점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기출 문제! 사실 해설 따위는 보지 않아도 좋다. 게다가 질답 형식의 암기가 기억력 또한 높여준다(SQ3R 독서법 참조). 올해 마지막 시험이다. 게다가 필기 시험은 몇 일 남지 않았다... 2003. 12. 10.
Software Requirements 성공적인 팀 단위 업무 수행은 참 어렵다는 것을 언제나 느낀다.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 수록, 프로토타입 등을 통한 요구 사항 확인이 절실해진다.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클라이언트 또는 작업 요청자가 기술적인 사항 뿐만 아니라, 한정적인 업무 사항을 내다보고 업무 지시를 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요구 사항은 추상적이며 변화 무쌍하기 그지 없다. 퍼지 이론 저리 가라다. 목마른 자가 우물 판다고, 작업 요청자보다, 개발자는 미리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해 놓지 않으면 낭패를 보는 일이 허다하다. 개발 성과에 대한 책임은 요청자보다 후자에 강조된다.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적잖은 노력이 뒤따른다. 그렇다. 개발 그 자체보다 요구 사항을 논리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프로젝트 성공의 열쇠다. .. 2003. 12. 10.
엑셀 2002 무작정 따라하기 이 책의 강점은 일단 저자의 출신 성분(?)에 있다고 본다. SK해운에서 직원에게 엑셀을 전담으로 가르치는 분이시니 말이다. 사담이지만, 이런 여유있는(?) 회사가 아니니 어쩔 수 없이 책을 구입해서라도 배워야하지 않겠는가. 책을 받아본 느낌은 상당히 묵직하다. 책이 단순히 두꺼워서만은 아니다. 종이질이 정말 좋다. 일단 겉부터 살펴보고 속으로 리뷰를 들어가도록 하겠다. 그리고 처음 부분은 칼라로 인쇄되어 있다. 책을 읽을 때 첫부분만 읽고 그만두는 점을 감안해서 이렇게 한 것 같다. 칼라로 되어 있고 설명 또한 강사 분답게 세심한다. 자 이 책을 자세히 뜯어보자. 일단 목차를 보면 엄두가 안난다. 정말 방대한 내용이 실려있음을 알 수 있다. 설마 이 책을 몽땅 볼 생각을 하고 있는가? 자신이 필요한 부.. 2003. 9. 1.
처음 시작하는 프로그래밍 책은 많은 소단위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까지 다룬다. 운영체제의 밑 바닥부터 기계어 이진수까지 헤쳐 나간다. 책을 읽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각 부분은 길어야 한두 장 내외의 설명에서 그친다. 그래서인지, 책의 느낌은 꼭 신문에 연재된 칼럼을 모아놓은 듯하다. 그러나 기술적인 책이다보니, 알기 어려운 약어도 꽤 많이 나온다. DLL만 해도 그렇다. 프로그래밍에 대해 모르는 사람한테 Dynaimic Link Library라고 설명해주면 오히려 더 모르는 기분이 들테니 말이다. 초보자에게 불필요한 부분도 몇 개 있다. 특히 포인터는 왜 실려있는지 알 수 없었다.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도 많은데 말이다. 어쨌거나 이 책을 다 읽으면(난 하루 만에 다 읽었다) 프로.. 2003. 8. 14.
쉽고 실용적인 XML XML책은 이게 처음이 아니다. 3년 전에 WROX 국내 번역판인 Beginning XML이란 책을 구입해서 본 적이 있다. 그 책은 내게 맞지 않은 것 같다. 대낮에 읽어도 번번히 졸은 기억 뿐이다... -_-; 결국 반도 읽지 못하고 책장에 모셔지는 신세가 되었다. 책도 1000페이지 가까운 관계로 무지 두껍다. 두꺼운 책의 부담감과 읽기 어려운 편집(대부분의 외국 역서가 이러하다)으로 XML 이해를 포기해봤던 나에게, 이 책을 고를 때 예전의 사례는 좋은 교훈이 되었다. 입문자는 두꺼운 책을 피하는 편이 좋다는 것, 그리고 읽기 쉬워야 한다는 점(즉 편집이 중요하다). 길벗의 책은 이런 점에서 그만이다. 500 페이지 내외에 쉬운 내용을 부담감 없이 훌륭한 편집 솜씨로 펼쳐보인다(다른 길벗 책보다는.. 2003. 8. 14.